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빈의변위법칙
- 은하좌표계
- 은경
- 구면천문학
- 춘분점
- 표면밝기요동법
- 절대등급
- 외행성
- 연주시차
- 적경
- 세페이드변광성
- 레일리진스법칙
- 지평좌표계
- 황도좌표계
- 플랑크의법칙
- 색초과
- 적도좌표계
- 변광성주기광도관계
- 케플러의법칙
- 적위
- 겉보기등급
- 흑체복사
- 티티우스보데의법칙
- 툴리피셔관계
- 행성상성운
- 키르히호프의법칙
- 구면좌표계
- 색지수
- 은위
- 페이버-잭슨관계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
슈퍼 파인 블로그

지평 좌표계(Horizontal Coordinate System)란? 지평 좌표계는 관측자를 중심으로 한 좌표계로, 천체의 위치를 고도와 방위각으로 표시하는 좌표계입니다. 이 좌표계는 관측자가 지평면을 기준으로 바라보는 시야를 기준으로 하며 관측자의 위치와 시간에 따라 지평면이 변하므로 상대적인 개념의 좌표계입니다. 지평 좌표계는 관측자의 지평면과 북점 또는 남점을 기준면과 기준점으로 사용하여 천체의 위치를 방위각과 고도로 표현합니다. 방위각은 북점이나 남점으로부터 지평선에 내린 수직선과 지평선의 교점까지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각이며 천체가 관측자의 시야 상에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북쪽에서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360도까지 측정합니다. 고도는 천체의 위치를 지평선으로부터 수직으..

구면 천문학(Spherical astronomy) 구면 천문학은 위치 천문학의 하위 분야로,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천체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분야는 구면 기하학을 활용하여 천문학적 현상을 연구하는데, 천문학의 가장 오래된 분야 중 하나입니다. 구면 천문학은 천체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구면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구면 좌표계는 천체들의 위치를 공간상에서 나타내는 좌표 시스템으로, 각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구면 좌표계는 별들의 위치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그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적경과 적위를 이용하는 적도 좌표계입니다. 적경과 적위는 구면 좌표계의 중요한 개념으로, 천체의 위치를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적경은 천체가 천문경을 통과하..

별의 색깔 별들을 자세히 관측하다 보면, 우리는 그들의 색깔이 다양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별들의 표면 온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별들은 각자의 온도에 따라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이로 인해 우리가 관측하는 색깔이 결정됩니다. 먼저, 뜨거운 별들은 주로 파란색 빛을 방출합니다. 이는 높은 온도에서 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뜨거운 별의 표면에서는 짧은 파장의 빛이 많이 방출됩니다. 파란색은 짧은 파장을 가진 빛이므로, 이러한 별들은 파란색으로 관측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의 별들 중에서 가장 뜨거운 별들은 주로 푸른색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차가운 별들은 빨간 색의 파장을 가진 빛을 방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 주..

흑체 복사(Black Body Radiation)란? 흑체 복사(Black Body Radiation)는 물체가 주어진 빛을 완전히 흡수하고, 이를 다시 방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흑체(Black body)의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흑체는 모든 파장과 방향에서 들어오는 전자기파를 완전히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체로 정의됩니다. 이는 외부로부터 입사한 빛을 모두 흡수하여 내부에 흡수된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다시 방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는 완벽한 흑체를 구현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흑체와 비슷한 성질을 갖는 물체를 활용하여 연구 및 이론 모델링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별은 흑체와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지며, 별의 스펙트럼은 흑체 복사에 가까운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를..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이란? 18세기 중반, 천문학자들은 태양계의 행성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이해를 깊이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요한 티티우스(Johann Titius)라는 학자가 1766년에 간단한 수식을 통해 태양과 행성 사이의 평균 거리에 대한 관계를 발견했고 이것은 이후 1772년에 요한 보데(Johann Bode)에 의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케플러와 뉴턴의 법칙에 따르면,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타원형 궤도를 그리며 공전합니다. 이 궤도의 긴 반지름 값은 각 행성마다 규칙적으로 변화하는데 이런 행성들의 궤도 긴 반지름 값의 패턴을 밝힌 것이 바로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입니다. 태양과 행성 사이의 평균 거리를 나타내는 수열을 살펴볼 때, 각 행성의 평균 거리 값은 특정 수열의 ..

겉보기 등급(Apparent Magnitude)이란? 천문학에서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척도인 겉보기 등급(apparent magnitude)은 고대부터 사용되어온 척도입니다. 기원전 2세기경, 히파르코스(Hipparchus)가 별의 밝기에 따라 6개의 등급으로 처음 분류했고 이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으로,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하고, 그 사이의 별들을 2~5등급으로 분류했습니다. 이 등급 체계는 기원전 2세기경 프톨레마이오스(Ptolemy)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이후 망원경을 이용하여 별의 밝기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 등급 체계를 정량화하는 작업은 1856년에 포그슨(Norman Pogson)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포그슨은 1등급의 밝기를 6등급의 ..

공전궤도를 이용한 행성의 거리 계산 공전궤도를 이용하여 행성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은 케플러의 법칙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케플러의 법칙은 행성이나 천체들이 태양 또는 다른 중심 천체 주위를 공전할 때 그 궤도에 대한 특성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주기, 반지름, 태양과의 거리 등을 관련시켜줍니다. 1. 케플러의 제 1 법칙(궤도의 형태) 케플러의 제1 법칙은 궤도의 형태에 대한 법칙으로, 태양 또는 중심 천체를 중심으로 한 궤도는 타원형을 따릅니다. 이때, 타원의 한쪽 끝을 근지점(perihelion)이라 하고 다른 한쪽 끝을 원지점(aphelion)이라 합니다. 이 법칙은 행성의 거리를 구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궤도의 형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2. 케플러의 제 2 법칙(균일한..